반응형
반응형

 

 

이 작품의 원작은 '미키 타쿠(三木卓)'의 소설 '떨리는 혀(震える舌)'로 자신의 딸이 파상풍균에 감염되었을 때를 모티브로 1975년 발표를 했습니다.

 

 

 

 

 

1958년 잠복근무, 1974년 모래그릇(砂の器), 1977년 팔묘촌(八つ墓村), 1982년 의혹(疑惑) 등을 만든 거장 '노무라 요시타로(野村吉太郎)' 감독이 1980년 영화화한 것으로 개봉 당시 파상풍에 걸린 소녀를 연기한 '자쿠카메이 아유코'의 연기력이 엄청난 화재를 모았으며 소녀의 투병기를 공포스러운 분위기로 그린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노무라 감독은 일본에서 다작 감독으로 유명하며 일본 필름 누아루의 선구자 중 한명으로 여겨지며 미스터리 작가 '마츠코토 세이초'와 자주 협업해 총 8개 작품을 영화로 각색했고, 총 80편의 작품을 1985년까지 제작하고 1978년 영화 '악마'로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감독상'을 비롯해 다수의 상을 받았습니다.

 

 

 

 

1985년 은퇴이후 TV 프로듀서와 다른 일본 감독들의 컨설턴트로 일했으며 2005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1995년에는 일본 정부로 부터 일본에서 두 번째로 높은 '욱일훈장(旭日章)'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훈장은 2차 세계대전 종전 이전에는 군 복무 우수자에 대해서도 수여된 바 있어 '극우'의 상징적인 훈장입니다.

 

 

 

 

@ 파상풍

 

'파상풍균'이 생산하는 독소가 신경계를 침법해 근육의 긴장성 연축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질병의 전파는 오염된 상처를 통해 이뤄지고 수술, 화상, 중이염, 치주 감염, 동물의 교상, 유산이나 임신 후에도 감염되며 잠복기는 1일 ~ 수개월, 사람간 전파는 안됩니다.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치료의 경우 환자를 조용하고 조명이 밝지 않으며, 외부 자극을 피할 수 있는 환경에서 치료를 하며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TIG) 또는 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고 항생제 사용, 상처부위 배농이나 절제 등의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 제목 : 떨리는 혀 (震える舌)

- 원작 : 미키 타쿠 (三木卓)의 소설 '떨리는 혀'

- 감독 : 노무라 요시타로 (野村吉太郎)

 

- 개봉 일 : 1980.11.22일

- 배급 : 쇼치쿠 (松竹)

 

- 출연

   - 와타세 츠네히코(渡瀬恒彦)

   - 토아케 유키요(十朱幸代)

   - 와카메 마유코(若命真裕子)

   - 나카노 료코(中野良子)

   - 코시무라 코우이치(越村公一)

   - 우노 주키치(宇野重吉)

   - 카니에 케이조(蟹江敬三), 나카하라 사나에(中原早苗)

 

 

 

 

아버지 '미요시 아키라(三好昭)'는 도쿄의 인근 치바(千葉)현 교외에 있는 단지에서 아내 '쿠니에(邦江)', 딸 '마사코(昌子)'와 함께 살고 있었고 어느 날, 아파트 인근에 있는 갈대숲에서 나비를 잡으려다 습지의 흙탕물 속에 있던 '못'에 손이 찔리면서 부상을 입게됩니다.

 

 

 

 

자주있는 가벼운 상처로 생각하고 집에서 간단한 소독을 했지만 며칠 후, '마사코'의 걷는 모습이 평소와 달리 이상하다는 것을 깨닫은 '아키라'는 '마사코'에게 걸을 수 있는지 물어보지만...

 

 

 

 

'마사코'는 '걸을 수 있지만 걷고 싶지 않다'고 말하고 말하는 방법도 어딘가 평소와 다른것을 느끼게 되고 급하게 병원에 데려가기만 '큰 병은 아니다'라는 진단을 받게되고 다시 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하지만 '마사코'는 경련을 일으키기 시작하고 자신의 혀를 씹어서 자해를 시작하게 되자 대학병원으로 옮겼지만 검사결과 '파상풍'에 걸린 것으로 판명나게 되고 격리 병실에 입원하게 됩니다.

 

 

 

 

이 당시 파상풍은 환자가 살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은 난치병으로 어머니 '쿠니에'는 자책감으로 괴로워 하고 약간의 빛이나 입원 환자들의 웃음 소리에도 경련 등의 발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방음이 된 어두운 방에서 치료를 받게됩니다.

 

 

 

 

부모의 헌신적은 돌봄과 주치의, 간호사들의 헌신적인 치료가 이어지고 파상풍을 이겨내기 위한 사투는 계속 이어집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aqEN6JjFa4

 

 

 

영화 예고편에서 '새로운 공포영화'로 소개하고 있으며 '의학 드라마' 보다는 '오컬트 호러물'에 가까운 공포영화로 개봉 당시 아이가 입에서 피를 흘리거나 원활한 호흡 유도를 위해 치아를 발치하는 장면과 심한 경련과 발작 같은 화면이 나오면서 당시 이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 트라우마가 생긴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인기 추리작가 '요코미조 세이시(横溝正史)'의 동명 소설 '팔묘촌(八つ墓村)'을 원작으로 '노무라 요시타로(野村芳太郎)' 감독이 만든 작품으로 '하기와라 켄이치(萩原健一)', '오가와 마유미(小川眞由美)'. '야마자키 츠도무(山﨑努)', '아츠미 키요시(渥美清)' 등이 출연 했으며

 

영화 대사 중 비구니의 대사이자 영화의 캐치프레이즈인 '저주다~'라는 대사가 당시에 큰 유행어가 되면서 1977년10월29일 개봉 해 큰 성공을 거둔 작품입니다.

 

 

 

 

영화의 내용은 400년 전, 전국 시대인 1566년 '모리'에 의해 전쟁에서 패한 '아마코 유시타카'라는 무장이 8명의 무사와 함께 한 마을로 숨었다가 마을 사람들에게 발각되고 전원 몰살을 당하게 되고 무사들은 죽으면서 평생 저주를 하겠다고 절규를 하면서 죽어갑니다.

 

 

 

 

이후, 그 이름이 유래하는 산촌, '8개의 묘지가 있는 마을'이라는 이름의 '팔묘촌(八つ墓村)'으로 불리게 되면서 세월이 흐르게 되고 어느 날 '다지미 가문'의 한 남자가 마을 사람들 32명을 죽이는 참사를 벌이고 잠적을 하면서 영화는 그 이후 세월이 흐른 뒤의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저주받은 땅에서 시대를 분리한 후에도 여전히 음란하고 흥미로운 비극이 반복되는 모습을 '모래의 그릇'의 노무라 요시타로(野村芳太郎) 감독이 중후한 터치로 묘사한 영화로 팔묘촌은 영화뿐만 아니라 TV드라마 등으로 여러번 제작된 인기있는 일본 공포물로

 

1951년 첫 번째 영화화한 이후 본작은 두번째 리메이크 작이며 이후 1996년에 또 한 차례 리메이크 되 개봉되기도 했으나 본작의 인기를 넘어서지는 못했습니다.

 

 

滝観洞(ろうかんどう) PV ロング (youtube.com)

 

 

 

이 영화는 특히 타 작품에 비해 '동굴 씬'이 많은 영화로 여러 동굴에서 촬영이 이루어졌으나 이중 오카야마현(岡山県) 니미시(新見市)의 쿠사미카르스 대지(草間カルスト台地)에 있는 천연기념물인 '마키 동굴(満奇洞)'은

 

 

 

 

현재 가장 인기있는 관광지로 이 장소에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중요한 과거가 밝히는 장면의 촬영이 이루어졌고 동굴 상부에 빈 공간에는 갑옷을 입은 무사가 놓여져 있습니다..

 

 

 

 

- 제목 : 팔묘촌 (八つ墓村)

- 개봉 일 : 1977.10.29일

- 상영시간 : 152분

 

- 긴다이치 코스케 역 : 아츠미 키요시

- 테라다 타츠야 역 : 하기와라 켄이치

- 모리 미야코 역 : 오가와 마유미

- 다지미 요조 역 : 야마자키 츠토무

- 이소가와 경부 역 : 하나자와 토쿠에

- 다지미 히루요 역 : 야마모토 요코

- 다지미 코우메 역 : 이치하라 에츠코

 

 

 

 

'테라다 타츠야'는 부모 관계가 복잡한 인물로 수도권 공항에서 '항공기 유도원'으로 일하고 있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어느 날, 외할아버지가 사람을 찾는 광고를 하면서 이 광고를 본 '테라다 타츠야'는 오사카 카타히마의 법률 사무소를 방문하게 되면서  몸에 있던 화상의 흔적으로 외할아버지가 찾는 사람으로 인정되 외할아버지를 만나러가게 됩니다.

 

 

 

 

처음 만난 모친의 할아버지라는 '아카와 츠보마쓰'는 '타츠야'를 만나자마자 그 자리에서 갑자기 피를 토하고 죽고 타츠야는 아버지의 친적 미망인인 '모리 미야코'의 안내로 자신이 태어난 고향인 팔묘촌으로 향하게 되고

 

 

 

 

'타츠야'는 '미야코'로부터 어머니의 결혼 전 부인의 딸 '하루요'라는 이복 누이와 폐병에 걸린 형인 '타지마 하사야'가 병상에 있고 아이가 없기 때문에 '타츠야'가 ;다지마가'의 후계자가 될꺼란 이야기를 듣습니다.

 

 

 

 

하지만 이복형은 '타츠야'에게 와줘서 고맙고 재산을 잘 관리하라는 조언을 하던와중 갑자기 피를 토하고 죽게됩니다. 이 일로 마을 사람들은 과거 무사들의 '팔묘촌' 저주가 발생했다고 술렁거리며 그 원인이 '타츠야'가 나타나면서 발생된 일로 몰아 부치며 '타츠야'는 마을 사람들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동굴로 피신하게 됩니다.

 

 

 

 

8명의 무사가 현재의 팔묘촌으로 쫒겨와 살다가 '모리'의 보상에 눈이 먼 마을 사람들의 속임수에 전부 몰살되고 저주를 토며 죽고 이후 마을의 대표였던 '쇼자에몬'은 포상으로 막대한 산림의 권리를 부여받아 '다지미가'의 자산과 기초를 세웠으나

 

 

 

 

 

어느 날, 갑자기 미치면서 마을 사람 7명을 참살한 뒤 자신의 목을 베어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이로인해 마을 사람들은 저주를 두려워 하면서 '요시타카'등 8명의 시체를 다시 한번 정중하게 장례식을 진행합니다.

 

 

 

 

'타츠야'의 아버지 '다지미 요장'은 28년 전 32명을 학살한 인물 중 한명으로 일본도와 사냥총으로 학살 했으며, 팔묘촌에서는 '타츠야의 귀향'이라고 호응 하듯이 또 연속 살인이 일어나기 시작하자 사랍탐정인 '가네다 카즈조'가 조사를 위해 마을에 나타납니다...

 

 

 

 

쇼와 시정의 풍경과 시골의 아름다운 경치, 치밀한 스토리와 영상미, 연속 살인의 공표 묘사가 곳곳에 있으며 초 중반까지는 추리물, 이후는 호러 스타일로 바뀌면서 시종 불온한 느낌과 약간의 공포감이 잘 섞여 완급이 잘 된 영화로 총 세번의 리메이크와 TV시리즈 중 원작의 분위기를 가장 잘 나태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